금리가 끝을 모르고 오르고 있습니다. 큰 대출을 받은 분들은 늘어나는 이자로 인해 고민이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오르는 금리로 인하여 시중은행들의 적금 금리도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여러 적금들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금융감독원 금육 상품 통합비교공시
금용감독원: 금융상품 통합비교공시 사이트에서는 정기예금, 적금, 펀드, 전세 금융상품의 금리비교 및 대출비교. 또한 퇴직연금과 보험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만들어 두었습니다.
https://finlife.fss.or.kr/main/main.do
금융상품 통합 비교공시 시스템
finlife.fss.or.kr
위 링크를 통해 사이트에 들어가시면 아래 화면과 같이 필요한 기능을 선택할 수가 있습니다. 저는 정기적금을 비교하고자 이 사이트를 들어가 보게 되었으니 "적금"을 클릭해 보겠습니다.
월 저축 금액, 저축 예정 기간을 입력하면 총저축액이 나오며 적립방식(정액적립, 자유적립), 금융권, 이자 계산 방식(단리, 복리), 지역 등 여러 조건을 선택할 수가 있습니다.
이 사이트는 본인이 원하는 정보를 찾아서 비교해주는 사이트입니다. 위의 설명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본인이 원하는 조건에 따라 검색 결과는 상이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나온 결괏값과 예상 이자들을 비교할 수도 있기 때문에 잘 비교하시면 적금상품을 찾는대에 큰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지금부터 모으는 월급의 일부를 적금에 투자할 생각이라 높은 금리 위주로 몇가지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세후 이자도 나쁘지 않지만 복리가 아니기에 살짝 고민이 되긴 합니다.
끝없는 금리인상 언제까지
금리 인상은 당분간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저는 원래 주식투자를 좋아하고 재테크의 방법 중 하나로 고려하였습니다. 하지만 어느 순간 안전자산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현금을 마련해놓고, 남는 현금들은 꾸준히 적금을 통해 이자를 받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는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고금리로 인해 고통받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적금 상품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오늘 소개드린 사이트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제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나스닥 기술주 ETF QQQ (1) | 2022.12.21 |
---|---|
미국 고배당 고수익 분기 배당주 ETF SCHD (0) | 2022.12.20 |
주식회사와 배당의 정의, 왜 미국인가? (0) | 2022.11.12 |
부자의 기준은 무엇 일까요? 근로소득과 자본소득의 차이점 (0) | 2022.11.09 |
[미국 주식] 10월 배당주 알트리아 그룹, 미국 배당주 투자 (0) | 2022.1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