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및 신선식품 중에선 반드시 냉장 혹은 냉동 보관되어야 하는 제품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이 상황에서 이용하는 냉장(냉동) 컨테이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KN/RAP 컨테이너, 조금은 어색하시겠지만,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냉장컨테이너를 사용하는 이유
콜드체인 비즈니스는 점차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코로나 백신이 개발되어 유통되기 시작하던 시점부터, 냉장 컨테이너에 대한 관심이 급격하게 높아지기 시작했습니다. 냉장 컨테이너를 사용하는데에 드는 비용은 만만치 않습니다. 하지만 사용되는 이유는 상당히 명확합니다. 바로 온도유지 때문입니다.
내륙운송, 항공운송 동안에도 적정 온도가 유지되어야만 백신을 외국에서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냉장 컨테이너를 자주 사용하곤 합니다. 의약품 뿐만 아니라도 소고기, 과일 등 한국에서 동남아 등 더운 국가로 운송되는 물건들 중 일부는 온도유지를 목적으로 냉장 컨테이너를 사용합니다.
냉장 컨테이너의 종류
냉장 컨테이너는 영구적으로 온도유지를 할수있느냐, 아니면 일시적으로 온도유지를 하느냐에 따라 두 가지로 나누어집니다.
Active Container vs Passive Container
먼저 액티브 컨테이너 (Active Container)는 자체적으로 온도유지를 할 수 있는 컨테이너 입니다.
1. Active Container (RKN & RAP)
- 온도 설정 가능 (-20도 ~ 49도)
- RKN, RAP 와 같이 항공운송용기(ULD) 단위의 컨테이너
- 리튬이온배터리 (Lithium Barttery) 혹은 Dry-Ice를 사용하여 온도유지
- 배터리 충전 및 Dry-Ice 를 보충하여 기간 제한 없이 온도 유지 가능
- 높은 물류비 발생 (컨테이너 임대료 및 항공운임)
다음으로 패시브 컨테이너 (Passive Container)는 자체적으로 온도유지를 할 수 있는 능력이 없습니다.
2. Passive Container
- 온도 설정 불가 - BOX / PALLET 형태 등 다양
- 냉매제를 사용하여 온도유지, 통상 3-5일 정도
- Active 대비 물류비 저렴
화물의 형태나 특성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냉장 컨테이너는 다양합니다. 오늘은 많은 컨테이너들 중 몇 가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RKN/RAP 컨테이너
RKN Container & RAP Container Active Container 인 RKN과 RAP 는 자체적으로 온도 유지를 할 수 있습니다. 온도유지에는 드라이아이스 혹은 리튬이온배터리(ELI) 가 사용됩니다.
T2 - 드라이아이스 냉장 / E1 - 리튬이온베터리로 냉장
RKN과 RAP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크기입니다. 단순히 CBM 만을 계산했을 때 RAP는 RKN에 비해서 약 3배의 화물을 더 적입 할 수 있습니다. (RKN: 1.9 CBM, RAP: 6.6 CBM) 내부에 적입 가능한 자세한 사이즈는 자세한 사이즈는 아래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RKN과 RAP 는 보통 항공 수출 진행 시에, 피벗 (PIVOT) 운임을 적용합니다. (RKN: 755 KG, RAP: 1650 KG)
피벗 (PIVOT)에 관하여는 다음에 좀더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컨테이너는 화물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적입량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를 이용할 경우, 항공사 혹은 컨테이너 회사 쪽으로 여러 가지 비용들을 지불할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 임대료는 물론이며, 각각 상황에 따른 추가 금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1. Express Order Fee: 운송일 기준 3일 전, 이후 요청시
2. Change Order Fee: 운송 확정 이후 임대내역 변경시
3. Cancellation Fee: 운송 확정 후 취소시
4. Demurrage Fee: 기본 임대일 초과시
일별, 컨테이너 수량 별 발생 위의 비용은 컨테이너 업체 및 항공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냉장, 냉동 화물 운송은 RKN/RAP 컨테이너
오늘은 RKN와 RAP의 개념은 다소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선적하는 화물들이 도착하는 국가에서 중요한 곳에 쓰인다고 생각하면, 좀 더 자세히 공부를 한 후 업무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 글이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항공수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라질 항공수출, 왜 힘들다고 느껴질까요 (0) | 2023.04.03 |
---|---|
비행기 실시간 위치 찾기, 항공 수출의 기본 트레이싱 (0) | 2023.03.15 |
위험물과 MSDS, 화학물질을 구분하는 자료 (0) | 2022.12.31 |
항공수출 절차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2.12.29 |
댓글